본문 바로가기

[Linux Master 1급] 커널 컴파일 순서 1. 시스템 데이터 및 중요 파일들을 백업. 2. 커널 컴파일 작업 위치로 이동.(/usr/src) 3. 컴파일 할 리눅싀 커널 소스코드 가져오기 4. 커널 소스코드 압축 해제 5. 커널 컴파일을 위한 작업장 청소 작업(make mrproper) 6. 커널 컴파일 옵션 설정 작업(make menuconfig)7. 커널 이미지 파일 생성을 위한 컴파일 작업(make bzImage)8. 커널 모듈 생성을 위한 컴파일(make modules)9. 커널 모듈 파일 설치하기(make modules_install)10. 커널 모듈 파일 및 관련 파일 복사, grub.conf 파일 수정(make install)11. 재부팅(새 커널 부팅 테스트)12. 새로운 커널 버전 확인 및 시스템 서비스 확인. 더보기
[Linux Master 1급] 이론정리 (작성중 ~2014/3/6) + 시스템 성능의 4가지 요소 - 처리 능력(Throughput) : 단위시간당 처리량 나타냄. - 신뢰도(Reliability) :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하게 작동되는지를 나타냄. -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 시스템에서 곧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냄. - 반환 시간(Turnaround Time) : 작업이 제출되어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총 소요 시간. + 운영체제의 유형 - 다중 작업(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 -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 작업의 처리가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처리 됨. -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 다중 사용자(Mu.. 더보기
[modeling] 인사기록카드 위의 인사기록 카드를 토대로 하여 모델링을 해볼텐데 우선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위의 항목 전부를 한개 테이블에 담아야합니다. [pic. 1][pic. 1]을 토대로 1차 정규화 과정을 시작하겠습니다.1차 정규화는 반복속성의 제거로 앞전의 정규화 방법에서 확인했듯 뒤에 숫자가 붙은 것들이 반복적인 속성입니다.이를 다른 개체로 빼면 1차 정규화가 완성됩니다. [pic. 2] 2차 정규화는 1차 정규화에서 떨어져 나온 자식 개체들을 완전 함수 종속 시키는 정규화인데 [pic. 2]에서 2차 정규화의 내용은 없으므로 2차는 하지 않고 3차 정규화를 찾아 봅니다. 3차 정규화는 이행함수 종속을 제거하는 것인데 이 역시 존재하지 않으므로 하지 않습니다. 자세히 보면 학력, 경력, 교육훈련, 상벌의 경우 개체의 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