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썸네일형 리스트형 05 Application Layer - Network Application 구조와 프로세스간 통신 1. Application Layer 가 중요한 이유이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보안적인 관점에서 보면 Application Layer는 End User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계층으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데이터 유출등의 사고들이 바로 이 Application Layer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Network Core와 Network Application 의 투명성기존에 투명성이라는 용어를 정리했었습니다.이 투명성이란 이 Application Layer에도 적용이 되는데 Network Application 개발자는 Network 의 구조라던가 통신 경로, 방식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않아도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3. Network Applicatio.. 더보기 04 Layering 1. Layering 이란?앞전에서도 많이 설명한 부분인데 각각의 Layer들은 본인들이 책임져야할 부분에 대해서만 알고 다른 Layer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는 분류를 말합니다.이는 또한 직무 분리 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 Layer 덕분에 책임 추적이 가능하게 됩니다. 2. 장점(1)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각 부분(Layer) 별로 나누어 논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2) 시스템의 유지 및 개선 시 필요한 부분(Layer)만 할 수 있습니다. - 각 Layer를 개선하는 작업은 다른 Layer에 대해 투명한데 여기에서 투명이란 다른 부분(Layer)에 대해서는 신경쓸 필요 없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3.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 [pic. 1](1) Physical전기 .. 더보기 03 패킷 교환 방식의 지연과 손실 1. 패킷 지연 4요소(1) 처리 지연패킷의 헤더를 점검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데 걸리는 지연을 의미합니다.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작업을 하는 CPU의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특정 상황이 아니라면 무시가 가능합니다. (2) 큐잉 지연패킷을 전송할 때는 바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큐에 저장을 했다가 순차적으로 전송을 합니다.이때 이 전송을 기다리는 시간이 바로 큐잉 지연이라고 하는데 이는 라우터가 네트워크 상의 혼잡도에 따라 전송량을 결정하므로 혼잡도에 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혼잡도 : 패킷의 많고 적음. (3) 전송 지연실제로 송신자가 보내고 싶은 전송량과 해당 통신 라인을 통해 보낼 수 있는 전송량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지연으로 송신측이 보내고 싶은 전송량 / 라인이 전송할 수 있는 처리량.. 더보기 02 코어 네트워크와 그 전송 방식의 분류 1. 코어 네트워크코어 네트워크란 End System을 연결하는 중간 다리 역할의 장치들을 말합니다. (1) 전송방식 분류 - Circuit Switching : 회선 교환이라고도 불리워지며 기존에 정해둔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전송 방식을 말합니다. ex) 방송(방송국) - Packet Switching : 패킷 교환이라고도 불리워지며 데이터를 Packet 이라 불리워지는 데이터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ex) 통신(통신사) (2) 회선 교환송수신자가 통신을 위해 "회선" 이라는 미리 예약된, 결정된 통신 경로 이용하는 방식을 말하며 이 방식의 경우에는 일단 연결되면송수신자가 해당 회선을 사용하던 안하던 계속 자원을 소비하는 방식입니다.또한 예약된 자원은 공유되지 않으며 한번 연결된 회선은.. 더보기 01 인터넷과 연결 지향형 비연결 지향형 서비스 1. 보안적 시점 vs 네트워크 관리자 시점 네트워크의 계층은 크게 physical, Datalink, Network, Transport, Application 계층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어떤 시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중점을 두어야하는 계층이 나뉘게 되는데 해킹/보안적인 시점과 네트워크 관리자에 대한 시점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ic. 1] [pic. 1]에서 네트워크 관리자는 End system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즉 Network core 부분에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보통 Network, Datalink 계층을 중점적으로 보게 되지만 해킹/보안적인 시점으로는 사용자와 가장 인접해 있는 네트워크, 즉 Network Edge 부분에 신경을 써야하므로 Transport,.. 더보기 [Linux Server] Server 2. Apache Linux Server 중 Apache Server 문서입니다. 본 문서에는 기본 Apache 설치 및 구성, IP 기반의 가상 호스트, 이름 기반의 가상 호스트 구성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더보기 [Linux Server] Server 1. DNS(3) Linux Server 중 DNS 의 문서입니다. 본 문서에는 Root DNS - TLD Server - 하위 DNS 의 구성을 통한 Network 구성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Linux Server] Server 1. DNS(2) Linux 의 DNS 문서입니다. 본 문서에는 다중 도메인 서버, 도메인 위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etc] Server && Client 보통 평소에 Server와 Client라는 말을 자주하는데 이에 대해 정확히 말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Server와 Client라는 말의 정확한 의미를 간단히 집어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Server란 특정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Client에게 제공"만" 해주는 기능을 가진 PC 혹은 Softare 입니다. 또한 Client란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보기 좋게 정리하여 보여주는 PC 혹은 Software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수기에 잠시 비교해보면 우선 물을 마시는 입을 사용자라고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즉 물을 보유하고 있는 정수기를 Server라고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때 정수기에서 물을.. 더보기 [Linux Server] Server 1. DNS(1) Linux의 DNS 문서입니다. 문서의 내용은 기본 DNS 의 구성 및 질의 방식, Master-Slave DNS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